이러한 신파극에 의미가 숨어있을까요? 한형모 감독이 그런 목표로 촬영했는지 아니면 그냥 이익을 위해서 했는지 잘 모르겠지만 뒤늦게 보면 사회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게 확실이다. 감독이 사회적인 영향을 일부로 강화하든 함부로 하든 결국은 마찬가지다.
자유부인에 무슨 영향이 미치냐면 작품명과 동일 한 자유가 아니다. 오히려 자유는 한국 부인을 부패하게 만드는 것으로 다루고 있다. 파방판에는 그 부패된 부인을 가부장제만 살려줄 수 있다. 그래서 이 작품에 "자유가 위험하다"는 의미가 숨어있다고 할 수 있다.
아직도 자유부인의 자손된 현재 한국 드라마에 같은 가부장제를 강화하는 내용을 찾기 어렵지 않다. 자유러운 여자가 남자 없이 잘 사는 장면을 언제 까지 기다려야 할 건가?
Thursday, December 28, 2017
Thursday, December 21, 2017
연세대학교 출판부: 주제가 있는 한국어 읽기 (5급)
다음달의 한국어 능력시험에 신청했다. 더 이상 미루면 그냥 쓸모없는 흔해빠진 중년 백인 아저씨가 됬다고 할 수 있을까 걱정이 돼서 마침내 마음을 먹었다. 생각 보다 무서운 일이네. 시험을 본 후 4급으로 나오면 그 지난 8년 낭비한 셈이다. 사실 온 지 8년이 됐어도 아직 실력이 낮은 것에 부끄럽다.
그래서 이 책을읽은것이다. 읽어보니 더 무서워졌다. 시간 제안 없어도 이해하기 어렵다면 현실 시험은 어떻게? 특히 마지막 장인 "서편제"에 내용 이해 질문을 맞기는 커녕 등장인물 몇 명이 있는지를 말 할 수 없겠다.
제 언어 습득에 어려운 당계를 당도한 것 같다. 앞에 지름길이 없겠으니 열심히 공부 하기 밖에 방법이 없다.
그래서 이 책을읽은것이다. 읽어보니 더 무서워졌다. 시간 제안 없어도 이해하기 어렵다면 현실 시험은 어떻게? 특히 마지막 장인 "서편제"에 내용 이해 질문을 맞기는 커녕 등장인물 몇 명이 있는지를 말 할 수 없겠다.
제 언어 습득에 어려운 당계를 당도한 것 같다. 앞에 지름길이 없겠으니 열심히 공부 하기 밖에 방법이 없다.
Sunday, December 17, 2017
Amy B.M. Tsui: Understanding Expertise in Teaching
The problem with this sort of academic writing is summed up in something one of my favorite professors, 조현용 once said (roughly translated): "Academic writing requires you to write 30 pages for the right to propose a single line." And that's basically what Tsui has dutifully done here. I will save you all the trouble of reading the "30 pages" of theoretical underpinnings, research methodologies, and background information, and skip directly to the "single line", the kernel of insight that she had to work so hard to justify proposing:
"The findings of the case studies suggest that the critical difference between experts and nonexperts is not that the former solve more and more problems, because problems often do not present themselves as such. It is their capability to 'see' what appears to be unproblematic as problems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nonexperts" (271).
This insightful distinction, not between experts and novices, but between experts and experienced nonexperts, is at the heart of this research. The ability to problematize, analyze, and improve things that experienced nonexperts would view as "ain't broke" is what makes a true expert, in teaching and presumably across fields. While I find myself woefully short of expert in many ways, this salient perspective identifies a way forward and offers a way around the trap of becoming just another mediocre white guy teaching English in East Asia.
"The findings of the case studies suggest that the critical difference between experts and nonexperts is not that the former solve more and more problems, because problems often do not present themselves as such. It is their capability to 'see' what appears to be unproblematic as problems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nonexperts" (271).
This insightful distinction, not between experts and novices, but between experts and experienced nonexperts, is at the heart of this research. The ability to problematize, analyze, and improve things that experienced nonexperts would view as "ain't broke" is what makes a true expert, in teaching and presumably across fields. While I find myself woefully short of expert in many ways, this salient perspective identifies a way forward and offers a way around the trap of becoming just another mediocre white guy teaching English in East Asia.
Subscribe to:
Posts (Atom)